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고 나서 많은 분들이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요.
아무래도 정부지원이 포함되어 있어 어느 은행보다 이율이 높은데 5년이라는 장기저금이라 많은 분들이 고민에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늘 알아가는 청년도약계좌의 정보를 읽어보시고 좋은 판단에 도움이 되어보고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1. 청년도약계좌란?
- 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위해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으로 사회출발 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위한 공공기관 정책지원금을 말한다.
- 만기 5년동안 매월 최대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정부지원형 적금상품으로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한다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정부정책이다.
2. 지원대상.
- (나이)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34세 이하인 청년이 포함된다.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간 추가로 인정해준다.
- (소득요건) 직전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원 이하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이 6,300만원 이하인 경우 대상이다.
☞단, 비과세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 (금육소득요건) 가입일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4ㅘ세기간 중 1회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자가 대상이다.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자를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이라 말한다.
- (가구소득요건)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 인자가 대상이다.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이하에 해당하는 자가 대상이다.
- 직전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전전년도의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 국세청의 소득확인증명서를 통해 소득확인이 이뤄진다.
22' 기준 중위소득 250% | |
가구원수 | 기준 중위소득 250%(연) |
1인가구 | 58,344,360 |
2 인가구 | 97,802,550 |
3 인가구 | 125,841,030 |
4 인가구 | 151,632,400 |
5 인가구 | 180,735,450 |
6 인가구 | 207,210,120 |
7 인가구 | 233,417,760 |
3. 지원내용.
- 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의 남입한 금액에 따라 납입액의 최대 6%를 정부기여금으로 지원합니다.
-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4. 청년도약계좌 적용금리 및 만기.
- 만기는 5년, 금리는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예정이다.
- 우대금리는 각 은행별 차이가 있으니 알아보고 본인에게 이득인 곳에서 신청하는 것이 좋다.
- 기존은 만기시에만 제공되던 비과세혜택이 3년 후 적금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제공 및 60%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조건이 완화되었다.
-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정부지원금을 받게 되어 만기수령액이 높아지는 구조이다.
개인소득 기준 | 정부기여금 | |||
지급한도 | 비율 | 한도 | ||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
40만원 | 6% | 2,4000원 | |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50만원 | 4.6% | 2,3000원 | |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
60만원 | 3.7% | 22,200원 | |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3.0% | 21,000원 | |
총급여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 | - | - |
☞육아휴직급여 및 육아휴직수당만 있는 경우 총급여 기준을 적용하여 정부기여금 매칭비율로 산정한다.
5.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총 11개 은행(취급 은행)에서 은행벽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 가능하다.
☞기업/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대구/부산/경남/광주/전북은행 가능하다.
- 1차 : 03.18 ~ 3. 22.
- 2차: 03.25 ~ 04.05.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은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입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청년희망적금 1,260만원을 일시납입 할 경우를 계산해보자.
: 본인납입은 일시납입 1,260만원 +기본납입 70만원*42개월=4,200만원이다.
: 정부기여금은 144만원 +이자 712만원=856만원이다.
☞총 5,056만원이 되는 것!
☞청년희망적금은 최소 200만원 ~ 원하는 만큼 일시납입이 가능하다.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사업인 만큼 비과세혜택을 놓치기 아쉬운데요.
장기저금이라는 점이 고민의 포인트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년 뒤부터 비과세적용이 가능하다고 하니 저도 알아봐야겠군요.
오늘도 응원합니다.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맘편한임신 임신 관련 지원 임산부등록 혜택 (0) | 2024.03.27 |
---|---|
2024 우유바우처 시범사업 (4) | 2024.03.20 |
2024 교육급여 바우처 교육비 신청 (4) | 2024.03.14 |
수영장 헬스장 연말정산 소득공제 적용 필라테스는? (1) | 2024.03.12 |
2024 출산지원금 (0) | 2024.03.09 |